본문 바로가기
노동/노동에세이

#01.옛날 신문에서 발견한 1984년의 노동법 이슈와 2021년의 노동법

by 노무사 송글 2021. 11. 25.
728x90

 

며칠 전에 동료 노무사들과 발길이 닿는 대로 들어간 약간 레트로한 분위기의 술집 벽면이 옛날 신문으로 도배되어 있었다.

앉은 자리에서 잠깐 살펴보니 1984년의 서울신문이었는데, 마치 우리가 오기를 기다렸다는듯 시선을 강탈하는 <최저임금제 86년 이후 실시> <50인 이상 사업장 협의회 설치 의무화> <악덕 기업주 처벌을 강화> 라는 제목들.

(술 먹는데 일 얘기 좀 하지 맙시다)

대한민국에서 최저임금제는 1986년 12월 31일에 제정되었으니 올해로 35년이다.

최저임금제가 서른여섯살이 되는 내년 최저임금은 2021년에 비해 약 5.05% 인상되어 시급 9160원이다.

정기상여금의 10%, 현금성 복리후생비의 2%가 최저임금 계산시 산입되지 않는다.

2024년부터는 둘다 미산입비율이 0%가 된다.

즉, 정기상여금과 현금성 복리후생비를 점진적으로 최저임금으로 조금씩 밀어넣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학교다니면서 알바할 때 시급 5210원인가 그랬던 것 같은데 눈 깜짝하니 세월이 이만큼 지나갔다.

(그리고 정신차려보니 노무사가 됐는데 근로시간이 길어서 어쩌면 시급은 그때랑 비슷할지도 모른ㄷ..읍읍)

제4조(노사협의회의 설치)

① 노사협의회(이하 “협의회”라 한다)는 근로조건에 대한 결정권이 있는 사업이나 사업장 단위로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상시(常時) 30명 미만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이나 사업장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30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1. 제4조제1항에 따른 협의회의 설치를 정당한 사유 없이 거부하거나 방해한 자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1984년과는 달리 2021년의 현행 근참법에 의하면 노사협의회는 상시 30인 이상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 설치해야 한다.

위반한 경우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협의회위원은 노사 동수로 각각 3~10인으로 구성해야 한다.

사용자위원은 대표이사와 대표이사가 위촉하는 자, 근로자위원은 근로자가 선출하되, 과반노조가 있으면 그 노조의 대표자와 노조가 위촉하는 자로 한다. 임기는 3년이되 연임도 가능하다.

 

근로자위원으로 고직급자(ex.부장님)를 선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정기회의를 분기에 1회씩으로 아무 날짜나 하다보면 법에서 정한 3개월을 초과할 수 있으니 이 점도 조심해야 한다.

#최저임금제 #최저임금법 #최저임금 #노사협의회 #30인이상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728x90

댓글